연말정산에서 세액공제는 보험료, 의료비, 교육비, 기부금 등 본인이 실제 지출한 금액에 대해 공제를 받는 것을 뜻한다.
특별세액공제
특별세액공제와 관련된 지출이 별로 없는 사람이라면 '표준세액공제'를 살펴보고 활용해 볼 필요가 있다. 세액공제는 특별세액공제와 표준세액공제 가운데 하나를 근로자 본인이 선택할 수 있다.
연말정산 시즌에는 해당 연도에 지출한 비용 중 공제대상 금액과 인적공제 사항을 기재한 소득·세액공제신고서와 해당 공제내역의 실제 증명서류 등을 회사에 제출하게 된다.
표준세액 공제
표준세액공제는 일괄적으로 공제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증명서류를 제출하지 않은 경우에도 근로자 본인에 대한 인적공제 및 표준세액공제(13만원)만 일괄적으로 적용받을 수 있다.
특별세액공제와 소득공제, 월세세액공제를 신청하지 않은 경우
산출세액에서 '13만원'을 일괄 공제하는 방식이라고 볼 수 있다.
근로자 본인의 지출 규모에 따라 표준세액공제나 특별공제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어떤 공제를 선택하는게 유리할까?
특별세액공제와, 월세 세액공제, 소득공제 합산 금액 기준
- 13만원 이하일 경우 : 표준세액공제 선택 하면 유리
- 13만원 이상인 경우 : 특별세액공제 선택 하면 유리
표준세액공제를 선택하면 좋은 상황
- 월세, 의료비, 교육비 등 공제금액이 13만원 보다 적을 경우
- 사정상 공제 내역 증빙 관련 서류를 제출하기 어려운 경우
연말정산 과세표준 계산하는 방법, 근로소득공제액 표
연말정산이란? 올해도 어김없이 연말정산의 시즌이 돌아왔다. 낯선 개념과 복잡한 계산법 때문에 연말정산이 멀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잘 챙기면 13월의 월급이 될수 도 있다. 잘 알아두고 꼭
memory-log.tistory.com
연말정산 공제율과 추가 공제 항목, 월세 환급 받는 방법, 전세자금대출 공제 소득공제 핵심 꿀
직장인 연말정산 1년에 딱 한번 세금을 돌려받을 수 있는 기회다. 연말정산이란? 매년 초에 소득과 세금을 정산해서 작년 1년 동안에 내가 낸 세금이 많으면 돌려받고, 낸 세금이 적다면 추가로
memory-log.tistory.com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용카드 추가 소득공제, 5% 더 쓰면 100만원 추가 공제 한도 (0) | 2021.01.05 |
---|---|
비트코인 상승이유와 시세 전망, 코로나와 가상화폐 (0) | 2021.01.05 |
비트코인 시세, 종목, 새해 전망과 암호화폐 오르는 이유 (0) | 2021.01.04 |
신용점수 올리는 방법, 내 신용점수 확인하는 방법 (0) | 2021.01.02 |
2020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표, 1인가구부터 5인가구까지 150% 구간 총정리 (0) | 2021.01.02 |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