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세권청년주택12

용산 베르디움프렌즈 역세권 청년주택 입주 시작, 경쟁률과 입지 위치, 임대료와 월세는 얼마? 서울시 1호 역세권 청년주택인 용산 베르디움프렌즈가 드디어 입주를 시작한다. 지상 35~37층 2개동 세대수 : 1,086세대 위치 : 삼각지역 인근 한강로2가 일원 사업 시행자 : 용산피에프브이(PFV) & 호반건설 용산 베르디움프렌즈 상세 건축규모 지하 7층, 지상 35 ~ 37층(2개동) 연면적 : 9만9837.90㎡ 건폐율 : 57.52% 용적률 : 961.97% 공동주택 1086세대(공공323/민간763)와 커뮤니티시설, 구립 어린이집, 작은 도서관이 함께 조성됐다. 입주일 민간임대주택(763세대) : 2월 15일 부터 입주 시작 공공임대주택(323세대) : 3월 부터 입주 시작 입주 예정 커뮤니티시설 비영리기구(NPO) 공유오피스(2974.46㎡) 중앙주거복지지원센터 및 청년월세상담센터(801.. 2021. 2. 15.
양재역 역세권 청년주택 양재역 역세권 청년주택 정보 ​ 규모 지하 5층 ~ 지상 22층 ​ 세대 총 379세대 (공공 90, 민간 289) ​ 착공 2020년 3월 ​ 입주자 모집 공고 2021년 12월 예정 ​ 입주 2023년 3월 ​ 세대구성 전체 공급세대(379세대) 단독형 259세대 쉐어형 32세대 신혼부부형 88세대로 구성 ​ 건설사 호반건설 ​ 위치 지하철 3호선 , 신분당선 라인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 1365-8 ​ ​ 역세권 청년주택은 서울시가 민간 사업자에 건물 용적률 완화, 세금 감면 등 혜택을 주면 민간 사업자가 역세권에 공공·민간 임대주택을 지어 시세보다 저렴하게 청년층에게 우선 공급하는 정책이다. ​ 서울시는 2022년까지 역세권에 청년주택 8만 가구를 지을 계획이라고 한다. ​ 단지 지상 2층에는 .. 2020. 10. 28.
역세권 청년주택 지도 ​ 역세권 청년주택 예정 리스트 ​ 노량진 역세권청년주택(예정)주택 서울 동작구 노량진로8길 59 혜신당한의원 ​ 삼각지역세권청년주택(2021년2월예정)주택 서울 용산구 백범로99가길 12 ​ 역세권청년주택(2022년2월예정)주택 서울 용산구 원효로93길 6 롯데건설(주) ​ 논현동 역세권청년임대주택(2022년1월예정)예정,공사중 서울 강남구 봉은사로 125 ​ 창전동 역세권청년주택(예정)주택 서울 마포구 창전동 19-8 ​ 신길동역세권청년주택(2023년12월예정)예정,공사중 서울 영등포구 신길동 3608 ​ 포레나당산동역세권청년주택(2022년9월예정)예정,공사중 서울 영등포구 당산로 83 ​ 화곡역세권청년주택(예정)주택 서울 강서구 강서로 147 ​ 등촌역세권청년주택(예정)주택 서울 강서구 공항대로59.. 2020. 10. 7.
청년주택 임차보증금 주요 QNA 청년주택 임차보증금 신청은 어떻게 하나요? 서울주거포털에서 ‘청년 임차보증금 지원’ 메뉴로 들어가셔서 신청하면 됩니다. 타지역 거주자도 신청가능한가요? 계약예정 임대물건이 서울시 관내에 위치한 다면 신청 가능합니다. 소득이 없어도 추천서를 받으면 대출이 가능한가요? 어떤 서류를 제출해야 하나요? 연소득 기준은 세전인가요, 세후인가요? 세전 연소득 기준입니다. 중소기업청년대출, 버팀목 전세자금대출을 받고 있는데, 청년임차보증금 대출을 추가로 받을 수 있나요? 추가대출은 불가하고, 기존에 이용 중인 전 세대출을 상환하는 조건으로 취급이 가능합니다. 은행에서 신용대출을 이미 받고 있습니다. 청년임차보증금 대출을 추가로 받을 수 있나요? 대출신청 가능하나, 은행 대출조건에 부합해 야 하므로 사전에 반드시 은행 .. 2020. 10. 2.
역세권 청년주택 소득기준 역세권 청년주택 청약 변경된 소득기준 기준 : 2020년 9월 17일부터 서울시가 ‘역세권 청년주택’ 실수요자들의 입주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청약 순위별 소득기준을 현실화하였다. ​ 역세권 청년주택은 공공임대주택과 민간임대주택이 혼합된 형태이다. 민간임대주택은 특별공급과 일반공급으로 나뉘어 총 3가지 유형으로 공급된다. 공공임대주택과 민간임대주택 특별공급 2가지는 입주자 자격요건에 소득기준이 포함돼 소득수준에 따라 청약순위가 결정되어 왔다. ​ 민간임대 특별공급 소득기준 시는 소득기준 현실화를 위해 민간임대 특별공급 1·2·3순위 소득기준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소득의 50%·100%·120% 이하에서 가구원수별 가구당 월평균소득의 100%·110%·120% 이하로 변경했으며, 법에서 허용하는 최대치를 .. 2020. 9. 30.
서울시 청년주택 보증금 전월세 대출 정보 서울시 청년 대상으로 서울시에서 지원하고 있는 다양한 대출 정책이 있다. 역세권 청년주택 무이자 임차보증금 지원 월세대출 & 월세지원 정보 임차보증금 대출 조건 및 종류 역세권 청년주택 무이자 임차보증금 지원 지원대상 나이: 만 19세 ~ 39세 소득기준 : 연소득 6,750만원 이하 자산기준 : 자산 2억 3,700만원 이하 대상주택 : 임대료가 주변시세 85% 이상인 역세권 청년주택 대출금리 : 무이자 대출한도 : 최대 4,500만원 출처 : 서울주거포털 홈페이지 2020. 9. 30.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