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도 어김없이 찾아올 장마철을 앞두고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고 계실 텐데요. 특히 2025년 장마는 기상청 예측에 따르면 평년보다 길고 강수량도 많을 것으로 전망되어 미리 준비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급경사지 붕괴나 침수 피해가 우려되는 지역의 긴장감이 높아지는 가운데, 과거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올해 장마 전망과 효과적인 대비 방법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2025년 장마 기간 지역별 예측 분석
기상청의 기후통계분석 데이터와 최근 30년간의 장마 패턴을 종합 분석한 결과, 2025년 장마는 예년과 비슷한 시기에 시작되지만 기간과 강수량 면에서 주목할 만한 특징을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지역별 장마 시작 및 종료 예상 일정
- 제주지방: 6월 19일 ~ 7월 20일 (32일간)
- 남부지방: 6월 23일 ~ 7월 24일 (32일간)
- 중부지방: 6월 25일 ~ 7월 26일 (32일간)
올해 장마의 가장 큰 특징은 전국 평균 31일간 지속될 것으로 예측된다는 점입니다. 이는 평년 대비 약 4일 정도 긴 기간으로, 특히 강수량이 평년 대비 1.5배 가량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과거 10년간 중부지방 장마 데이터 비교
연도 | 시작일 | 종료일 | 기간 | 강수량(mm) |
2024 | 6/29 | 7/27 | 29일 | 447.2 |
2023 | 6/26 | 7/26 | 31일 | 594.1 |
2022 | 6/23 | 7/25 | 33일 | 398.6 |
2021 | 7/3 | 7/19 | 17일 | 150.9 |
2020 | 6/24 | 8/16 | 54일 | 856.1 |
과거 데이터를 보면 2020년처럼 54일간 지속되며 850mm가 넘는 폭우가 쏟아진 해도 있었던 만큼, 올해도 충분한 대비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장마철 침수 피해 예방 체크리스트
장마철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사전 점검과 준비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특히 올해처럼 강수량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해에는 더욱 철저한 대비가 필요합니다.
주택 및 건물 점검 사항
- 배수구와 하수구 청소 및 막힘 여부 확인
- 창문, 지붕, 외벽의 방수 상태 점검
- 누전 차단기 작동 테스트
- 제습기, 에어컨 등 습도 관리 기기 점검
- 지하실이나 반지하 거주 시 배수 펌프 작동 확인
차량 관리 및 보험 확인
- 타이어 상태 점검 및 여름용 타이어 교체
- 와이퍼 블레이드 교체
- 차량 침수 보험 특약 확인
- 저지대 주차 금지 (침수 위험 지역 파악)
생활용품 준비
- 우산, 방수 신발, 우비 등 우천 대비 용품
- 제습제, 곰팡이 제거제 구비
- 비상용 손전등, 배터리 준비
- 냉장고 온도 설정 조정 (1~3도 유지)
특히 올해는 국지성 집중호우의 빈도가 평년 18회에서 25회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어, 짧은 시간에 많은 비가 내릴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실시간 기상 정보를 수시로 확인하고 대피 경로를 미리 파악해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 침수 상황별 대응 요령과 안전 수칙
장마철 침수 상황은 예고 없이 찾아올 수 있기 때문에 단계별 대응 방법을 미리 숙지해두는 것이 생명을 구할 수 있습니다.
침수 단계별 차량 대응법
- 타이어 절반 침수: 즉시 안전한 고지대로 이동, 엔진 손상 전 탈출
- 엔진룸 침수: 시동 즉시 차단, 차량 정지 후 대피 준비
- 보닛 이상 침수: 창문 유리 파괴 후 차량 즉시 탈출
도보 이동 시 주의사항
- 맨홀 뚜껑 이탈 위험 지역 우회
- 지하차도, 지하보도 이용 금지
- 하천, 개울가, 해안가 접근 금지
- 공사장 인근 우회 (자재 낙하 위험)
응급상황 대처법
- 119 신고 시 정확한 위치 정보 제공
- 고립 시 휴대폰 배터리 절약 모드 활용
- 구조 요청 시 밝은 색 옷이나 손전등 활용
- 전기 시설 접촉 절대 금지
기상청은 5월 23일 2025년 여름철 3개월 기상 전망을 공식 발표할 예정이므로, 이후 더욱 정확한 장마 예측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라니냐에서 엘니뇨로의 과도기적 기후 패턴으로 인해 기존 예측과 다른 양상을 보일 수도 있어 지속적인 관심과 대비가 필요합니다.
2025년 장마는 기간도 길고 강수량도 많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미리 준비하고 대비한다면 충분히 안전하게 넘길 수 있습니다. 특히 올해는 집중호우의 빈도가 높아질 것으로 예측되는 만큼, 평소보다 더욱 세심한 준비와 관심이 필요한 해가 될 것 같습니다. 지금부터라도 체크리스트를 점검하고 필요한 용품들을 미리 준비해두시기 바랍니다.